국산차 82

듬직한 아빠차 오빠차

미국적인, 너무나 미국적인…‘아메리칸 픽업트럭’ 한반도 상륙작전 ‘넥스트 제너레이션 레인저’ ‘픽업트럭’은 광활한 북미 대륙에 어울리는, 철저히 ‘미국적인’ 자동차다. 기름값이 싸 연비는 전혀 신경 쓰지 않은 듯한 거대한 차체와 강력한 힘, 넉넉한 적재 공간까지. 교외에 띄엄띄엄 떨어져 사는 인구가 많은 미국에선 거의 없어선 안 될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신차 다섯 대 중 한 대는 픽업트럭이 차지할 정도로 미국 내 인기가 상당한 편이다. 그에 반해 한국은 지금껏 픽업트럭의 불모지였다. 좁은 땅덩어리에 옹기종기 모여 살며, 주차할 공간도 그리 넉넉지 않은 한국에서 픽업트럭은 사치에 가까웠다. 그러나 한국인의 생활 방식이 조금씩 달라지면서 픽업트럭에 눈독을 들이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정통..

카테고리 없음 2023.02.20

쌍용자동차, 유럽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인증 취득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CSMS 인증 취득 쌍용자동차가 유럽 시장 진출 공략 확대와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럽의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CSMS 인증을 취득했다고 16일 밝혔다. 유럽경제위원회는 2020년 7월 관련 법규를 제정하고 CSMS 인증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CSMS 체계에 따라 차량이 개발됐는지 형식승인 또한 받아야 한다. CSMS는 자동차와 전기/전자 부품 등 그 시스템에 대해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의 개발과 생산, 생산 이후 단계 등 해당 차량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세스와 관리 시스템 구축을 요구한다. 또한, CSMS 인증은 3년마다 받아야 하며, 2022년 7월부터 유럽에서 판매되는 신차와 2024년 7월부터 현지에서 팔리는 모든 양산..

가성비・완성도로 무장한 ‘토종 디펜더’…패밀리・캠핑용 ‘강추’ [시승기-쌍용차 토레스]

코란도·무쏘의 후계자…디자인은 발군 시동 걸고 초기 주행속도도 10% 빨라 버튼리스 디지털 인터페이스 마음에 쏙 거대한 적재공간…2열 접으면 ‘1662ℓ’ 토레스. [쌍용차 제공]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세계적인 오프로더 명가로는 ‘레인지로버’가 대표적이지만, 한국에는 국산 오프로더의 명가 ‘쌍용자동차’가 있다. 무쏘, 코란도, 렉스턴 등 쌍용차가 선보인 SUV(스포츠유틸리티차)는 인기를 끌었고 꾸준하게 팔렸다. 특히 넘치는 힘과 탄탄한 주행감은 산이 많은 한국의 지형에 특화한 상징이 됐다. 사륜구동이 흔하지 않던 시절, 눈이 무릎까지 쌓인 대관령 고개를 쌍용차만 넘었다는 이야기는 지금까지 화자 될 정도다. 토레스는 한동안 부침을 겪은 쌍용차가 오프로더 명가 부활을 위해 내놓은 야심작이다. 토레스 출..

[momo톡] 너무 커서 미안합니다… 풀사이즈 SUV '쉐보레 타호'

[시승기]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GMC 유콘/시에라와 같은 플랫폼 -6.2ℓ V8 가솔린 엔진의 고급스러운 승차감, 넉넉한 힘 특징 -주차는 불편. 확장형 아닌 일반 규격 주차장에선 다른 차에게 피해를 줄 수밖에 없어 풀사이즈 SUV 쉐보레 타호 /사진=박찬규 기자 쉐보레 타호는 "웅장하다"는 한마디로 모든 게 정리된다. 보기만 해도 탄성이 절로 나오는 존재감은 이 차의 핵심가치다. 그동안 국내에서 팔린 여러 대형SUV를 초라하게 만들 수준이다. 지난해 국내 출시된 5세대 타호는 헐리웃 영화나 미국 드라마에서 경호차로 자주 등장했는데, 플랫폼을 공유한 형제 차종도 만만치 않다. 'SUV의 제왕'으로 불리는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GMC 유콘이 대표적이다. 이번에 시승한 타호는 최고 등급의 하이컨트리(Hig..

카테고리 없음 2023.02.12

[시승기] LPG 단점 빼면 준수한 기아 ‘스포티지 LPi’

기아가 LPG(액화석유가스) 엔진을 탑재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스포티지를 출시했다. LPG SUV는 그간 국내 시장에서 르노코리아자동차의 QM6만 존재했는데, 스포티지 LPG와 함께 쌍용차도 토레스 LPG를 내놓으며 격전지가 됐다. 스포티지 LPG의 앞 모습. /고성민 기자 서울에서 근교까지 약 150㎞ 시승한 스포티지 LPG는 저렴한 연료비와 준수한 주행감이 장점으로 느껴졌다. LPG차의 고질적 단점이 낮은 출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달리기 성능이 준수하다는 건 꽤 장점이다. 다만 LPG차의 태생적 한계로 연비가 낮아, 기름차보다 주유소를 자주 찾아야 한다는 점은 단점이다. 스포티지 LPG는 전장(차 길이) 4660㎜, 전폭(차의 폭) 1865㎜, 전고(차 높이) 1660㎜다. 스포티지 LPG는 ..

카테고리 없음 2023.02.04

[시승기] 쉐보레 타호, 초대형 SUV의 교과서적 구성

쉐보레 플래그십 SUV 타호를 시승했다. 타호는 거대한 차체와 볼드한 디자인을 통한 존재감이 대단한 모델로, 럭셔리 브랜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의 최신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을 공유한다. 특히 8기통 엔진과 에어 서스펜션, 3열 7인승 구성은 1억원 이하에서는 유일하다. GM 한국사업장은 국내에 다양한 SUV 라인업을 선보이며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국내 생산 모델로는 트레일블레이저와 1분기 출시를 앞둔 신형 트랙스, 수입 모델로는 쉐보레 이쿼녹스, 트래버스, 콜로라도, 타호, 그리고 GMC 브랜드 픽업트럭 시에라 드날리를 출시한다. GM 한국사업장은 올해 멀티 브랜드 전략을 통해 쉐보레-GMC-캐딜락의 다양한 신차를 국내에 선보일 예정이다. 최근 리뉴얼을 거친 창원공장은 신형 트랙스의 수출 기지로, 연간..

자동차/쉐보레 2023.02.03

[시승기] '로보캅의 눈' 신형 코나…'소형 SUV 기준을 깬다'

파노라믹 디스플레이로 고급스러움↑…컬럼식 기어로 공간 넓혀 SUV지만 스포츠 모드에선 '달리는 맛'…성인 남성 앉아도 넉넉한 2열 현대자동차가 지난 18일 소형 SUV '디 올 뉴 코나'를 세계 최초 공개했다. (현대차 제공) 2023.1.18/뉴스1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현대자동차가 지난 18일 올해 첫 신차로 소형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디 올 뉴 코나'를 출시했다. 부드러운 주행 성능, 이전 모델보다 더 넓어진 공간, 상위급 차종이 가졌을 만한 편의사양 등으로 '룰 브레이커' 다운 모습을 자랑했다. 지난 27일 '디 올 뉴 코나' 미디어 시승회에서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을 출발해 경기 파주 인근 카페를 돌아 약 60㎞ 가량을 주행했다. 신형 2세대 코나를 만나자마자 눈길을 끌었던 것은..

카테고리 없음 2023.01.28

[시승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새로운 아이콘 – 르노코리아자동차 XM3 E-테크 하이브리드

르노코리아자동차 XM3 E-테크 하이브리드 르노자동차코리아가 브랜드의 주력 모델 중 하나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XM3에 유럽에서 다듬은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E-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더했다. XM3 E-테크 하이브리드은 기존의 하이브리드 차량 대비 더욱 적극적인 전기 주행을 구현할 뿐 아니라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패키지를 통해 ‘하이브리드 차량’의 가치를 높인다. 조금 늦게, 그러나 인상적으로 등장한 XM3 E-테크 하이브리드는 과연 어떤 매력과 가치를 제시할까? 르노코리아자동차 XM3 E-테크 하이브리드 시승을 위해 준비된 XM3 E-테크 하이브리드는 기반이 되는 XM3의 체격을 그대로 계승한다. 실제 4,570mm의 전장과 각각 1,820mm, 1,570mm의 전폭과 전고 등을 갖춰..

자동차/르노 2023.01.25

[시승기] XM3 E-TECH 하이브리드, 정숙성과 완성도 돋보여

르노코리아자동차 XM3 E-TECH 하이브리드를 시승했다. XM3 E-TECH 하이브리드는 해외에서 르노 아르카나 E-TECH로 판매되는 모델로, 풀 하이브리드 고유의 높은 연비와 여유로운 트렁크 공간이 특징이다. 특히 하이브리드 시스템 완성도와 고속에서의 정숙성은 돋보인다. 르노코리아자동차는 2022년 유럽에 약 10만대를 수출해 창사 이래 최대 물량을 달성했다. 특히 XM3(수출명 아르카나)는 9만3251대에 달하며, XM3 E-TECH의 형제차 아르카나 E-TECH는 5만8778대로 가파른 상승세다. XM3 개발은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에서 주도했다.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의 국내 연구진들은 글로벌 프로젝트로, SUV의 실용성과 세단의 편안함을 함께 충족시키는 새로운 콘셉트의 쿠페형 SUV로 XM3를 개발..

자동차/르노 2023.01.20

아이오닉5·EV6와 형제 차인데…제네시스의 아픈 손가락 GV60

해외선 호평이지만…지난해 5693대 판매 사실상 그룹내 최저 고급 브랜드 내 모호한 차급…"젊은 매니아층에 특화해야" 제네시스 '2023 GV60’(제네시스 제공) 2022.12.16/뉴스1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는 미국 시장에서 2년 연속 최다 판매 기록을 경신하는 등 프리미엄 브랜드로 완전히 자리잡았다. 그러나 제네시스의 첫 전용 전기차 GV60의 판매량은 아쉬운 수준이다. 같은 플랫폼을 공유하는 현대차 아이오닉5·기아 EV6가 높은 판매량을 보이는 것과 달리 브랜드에 어울리지 않는 차급, 아쉬운 디자인이 발목을 잡고 있다. 16일 카이즈유 데이터의 2022년 자동차 등록데이터에 따르면 국산 승용차 브랜드 중 제네시스는 13만3060대를 판매하면서 기아(47만497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