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수학 8

그래프 III, 역함수의 대표 주자! 𝑦=1 / x 함수의 모든 것

[문제] 기울기, x절편, y절편을 구하시오.1) y = -4x + 52) x의 증가량이 2이고, y의 증가량이 6이며, x가 0일때 y는 3 인 함수3) x의 값이 1에서 3으로 증가 했을때, y의 값이 4만큼 감소하고, y절편이 -7 인 함수 4) A(-3, -2), B(1,0), C(3, m) 이 한 직선 위에 있습니다. m 값을 구하시오. 자 풀어볼까요.1) 함수 y=−4x+5y의 기울기, x절편, y절편을 구하시오.              y = -4x + 5 x의 계수가 기울기이므로 -4                        x절편 : y 값이 0이므로                                     0 = -4x + 5                              ..

그래프II , 그래프를 더 알아볼까요

[문제] y = x, y = x + 2 로 그래프를 그려볼께요.자 먼저 그래프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되죠표를 만든다 → y = x, y = x + 2  xf(x) = xf(x) =  x + 2-2-20 -1-11 002 113 224 ​좌표평면에 점을 찍는다 → 위 표의 값들을 좌표로 나타내면 y = x 는 (-2, -2), (-1,-1), (0, 0), (1,1), (2,2) y = x + 2 (-2,0), (-1,1), (0,2), (1,3), (2,4)점을 선으로 연결한다 → 직선을 그리면 함수의 그래프가 완성됩니다!자,  y = x, y = x +2의 x가 0 일때, y가 0 일때를 구하면,        y =x는 x가 0일때 (0, 0)                   y가 0일때 (0, 0) ..

그래프 I , 함수와 연관이 완전 깊죠 ^^

자 그럼, 그래프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볼게요!그래프란 무엇일까요?함수는 숫자와 기호로만 표현할 수도 있지만, 그래프를 이용하면 훨씬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그래프는 x값과 y값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좌표평면 위에 점을 찍어서 그립니다.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표를 만든다 → y = 3x 예제 xf(x) = 3x비고-2-6 -1-3 00 13 26 ​좌표평면에 점을 찍는다 → 위 표의 값들을 좌표로 나타내면 (-2,-6), (-1,-3), (0,0), (1,3), (2,6)점을 선으로 연결한다 → 직선을 그리면 함수의 그래프가 완성됩니다!함수 그래프의 특징1차 함수(예: y=3x)는 직선이 됩니다. ★x의 값이 변함에 따라 y값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합니다.그래프를 통해 함수의 증가..

함수, 이제 정말 수학이죠 ^^

[문제] 수학자 디오판토스가 사망했을 때의 나이는 얼마일까요? 스후 다시 일생의 1/7을 지나 결혼을 했다.그는 결혼 5년 후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은 아버지의 생애를 1/2을 살았다.그리고 아들이 죽고 난 후에 그는 4년을 더 살았다 > 자 그럼 x를 언제 사망 했냐로 놓고 풀어보아요. 1/6x + 1/12x + 1/7x + 5 + 1/2x + 4 = x1/6x + 1/12x + 1/7x + 1/2x - x = -9양쪽에 6, 12, 7, 2의 최소공배수 84를 곱하면,14x + 7x + 12x + 42x - 84x = -756-9x = -756x= 84∴ 수학자 디오판토스가 사망했을 때는 84세 입니다.  정말 쉽죠  여러분들은 정수, 유리수(분수로 나타내는 수), 무리수(분수로 나타낼수 없는 수)..

일차방정식와 대수

[문제]   0.123123.... 은 분수로 나타내면 얼마일까요? 일단  ① x = 0.123123... 로 놓습니다.여기서 123 123 이 반복되고 있습니다.그래서 1000을 곱하면② 1000x = 123.123123... 이 되죠.  ② - ①  999x = 123              x = 123 / 999 입니다.∴ 0.123123... 분수는 123/999 입니다. 우리는 정수를 배웠죠. 양의정수, 음의 정수가 있었고요.유리수도 배웠죠. 유한소수, 순환소수가 유리수죠.간단히 분수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 입니다. 1 / 2, 4 / 47 이죠.그리고 무리수도 정리 잠깐했죠. 무한소수 중 똑같지 않는 숫자가 반복되는 수인데,간단히 분수 형식으로 나타낼수 없는 수 입니다. 3.14159...

유리수와 무리수

지난번에 십진법, 이진수, 팔진수에 관한 문제 있었죠.[문제] 10101(이진수)를 십진수로 만들고, 다시 팔진수를 만드세요. 정말 쉽죠. 자 먼저 이진수를 십진수로 만들기 위해서는이진수 전개식을 쓰면되죠.10101(이진수) = 1x24 + 0x23 + 1x22 + 0x21 + 1x20                           = 1x16 + 1x4 + 1x2                          = 22(십진수) 그럼 22(십진수)를 팔진수로 바꾸려면 26(팔진수) 쉽죠 ^^지난번에 정수를 배웠죠. 정수는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가 있었죠. 이번에는 유리수라는게 있어요. 정수보다 더 커다란 수입니다.정수는 35 이런것이고, 유리수는 rational number 라고 해서한마디로 분수, 소수에..

정수, 십진법과 이진법

정수는 자연수인 양의 정수와 그 반대인 음의 정수로 나타낼 수 있어요.자연수는 양의 정수, 즉 인간이 자연에 있는 돌맹이의 수, 양떼의 수, 날짜의 수등이죠자연스럽게 나온수라 자연수지요. 이게 양의 정수 입니다. 정수 중에서 진법이라는게 있어요.진법은 가장 중요한 것은 간단히 '한자리에서 두자리로 언제 올라가냐?' 입니다. 먼저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십진법이있습니다.1~9까지 세고, 다음 10이 자릿수가 다르죠.그래서 10씩 묶는 방법이 십진법입니다.손,발이 10개라서 나온 묶는 방법이 십진법이에요. 그런데 십진법만 있는게 아니라 이진법도 있어요.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이용되는 이진법은 on과 off로 1과 0으로 나타내요.1, 10, 11, 100 이런 방식이죠.  365(십진수)을 예로 들께요. 3..

중학교 수학 참 어렵죠 ㅎㅎ

초등학교 졸업 후 중학교에 올라가서 아이들이 가장 먼저 포기하는 과목이 바로 수학입니다.그리고 어디서 들었는데, 처음으로 수학을 포기하는 것이 바로 분수입니다.  만약에 피자가 있다고 가정 하자구요.피자가 보통 8조각이 입니다.'나는 피자 반을 먹었어요'는 피자를 4조각 먹었다는 것이고,8조각 중에 4조각, 4 / 8 , 즉 '나는 피자 4 / 8 조각을 먹었어' 라고 말 하는 것과 같습니다.. 4 / 8 = 1 / 2 약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 / 2 = 1  (나누기 ) 2 라고 쓸 수 있습니다. 답은 0.5 입니다.또 좀 어렵게 표현하면, 3 : 5 는 피자를 3 / 8, 5 / 8 을 나타냅니다. 분수가 들어간 사칙연산 중에 + , - 는 통분이라는 것을 합니다.  1 / 3 + 1 / 4..